팝업레이어 알림

2f76a4954603a53fdb69cbc8361f84b2_1752994078_5813.jpg
 

검색창 닫기 버튼

이슈브리프

한미동맹의 전환 요구와 한국형 핵공유의 필요성

인도태평양(이하 인태) 지역이 국제정치경제의 중심축으로 부상하면서 한국 국가전략에서 가장 중요한 지정학적 공간으로 자리잡았다. 외교적 지평이 기존 동북아시아 중심에서 인태 지역으로 확장되면서 인태 지역 질서의 향배가 한국 국익에 막대한 영향을 미치는 가운데, 미국과 중국 모두 자국 이익중심의 전략을 추진하며 한국에게 명확한 노선 정리를 요구하고 있다. 과거처럼 전략적 모호성을 취할 외교적 공간은 급격히 축소됐으며, 한국은 미중 사이의 ‘균형’외교를 추진할 수 없는 구조적 현실에 직면했다. 특히 트럼프 2기 행정부는 “한미동맹...

  • 25.08.12

  • by 양욱, 이경석

아산리포트

안보환경 변화를 고려한 한국 특수작전부대 발전 방안

요약본 연구 보고서는 변화된 한반도 안보환경에 대응하여 전·평시 특수작전부대를 국가전략적으로 활용하는 방안과 임무완전성 보장을 위한 특수작전부대 발전 방안을 제공하기 위해 작성되었다.한반도의 안보환경은 인도·태평양 지역의 미중 간 전략적 경쟁 심화 속에서 북한의 핵무기 고도화가 실질적이고 직접적인 위협으로 부상하고 있다. 북한은 각종 미사일 시험 발사, 전술핵 공격 잠수함 진수, 전술핵 가상발사훈련 등을 통해 핵무기 사용을 현실화하고 있다.대한민국은 육·해·공군에 특수작전부대를 보유하고 있으나, 합동성 발휘가 제한되는 조직구조...

  • 25.08.07

  • by 김성수, 차두현, 양욱

이슈브리프

변화하는 유럽의 안보 환경과 한국에 주는 시사점

트럼프 대통령 2기 행정부의 유럽에 대한 입장은 유럽이 자체 안보와 방위에 대해 더 큰 책임을 져야 한다는 오랜 논쟁을 다시 부각시켰다. 냉전 종식 이후 유럽의 전략적 자율성을 둘러싼 논의는 계속되어 왔지만, 정치적 추진력은 지속되지 못했다. 2014년 러시아의 크림반도 병합은 이 논의에 긴박감을 불어넣었으나, 실질적인 행동은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이후에야 시작됐다. 이 논쟁의 핵심에는 미국의 북대서양조약기구(NATO) 안보 공약의 신뢰성과 유럽 국가들 간...

  • 25.08.04

  • by 김세미

아산 프로그램 상단 이미지
페이지 상단으로 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