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간물

이슈브리프

검색창 닫기 버튼

출간물 | 이슈브리프

2025년 북러 관계 전망과 한국의 대응

이상준

2,2702025.03.24

  • 프린트 아이콘
  • 페이지 링크 복사 아이콘
  • 즐겨찾기 추가 아이콘
  • 페이스북 아이콘
  • 엑스 아이콘

2025년 북러 관계에서 주목할 부분은 크게 네 가지이다. 첫째, 2025년의 북러 관계가, 북러 포괄적 동반자 관계 협정 체결 이후, 어떤 식으로 발전할 것인지이다. 당분간 2024년의 북러 新조약에 따라 현재의 군사안보적 협력에서 벗어나 경제, 사화문화 등 다양한 분야로의 협력을 확대하기 위한 노력이 계속 이어질 전망이다. 둘째, 러시아가 전쟁이라는 특수한 환경에서 맺어진 북한과의 협력 관계를 종전 이후 세계질서에서 어떻게 이어갈 것인지 또 이를 통해 국제 사회에 어떤 메시지를 전하고자 하는지이다. 러시아가 추구하는 다극질서에서 북한 카드의 유용성이 여전히 존재하며 러시아는 당장 북한을 활용하여 아태지역 전략을 계속 추구할 가능성이 높다.

 

셋째, 북한은 트럼프 재집권 이후 대미 전략 및 대외 전략에서 러시아의 유용성을 확인하고자 다양한 활용 방안을 모색할 것으로 전망된다. 북한은 러우 전쟁 기간 대러 지원에 대한 반대급부로 드론 등 미래 전쟁이 필요한 무기 생산기술을 러시아로부터 확보하고 북한의 에너지 및 식량 안보 이슈를 해결하는 데 중국의 대안으로서 러시아를 적극 활용할 전망이다. 넷째, 우리나라는 미러, 북러, 미북 관계에서 발생할 수 있는 다양한 관계 형성이 어떻게 전개될 것인지를 적극 모니터링해야 하는 도전과제에 직면할 것이다. 특히 한국은 러시아 정책의 변화에 대한 배경으로 북러 관계 밀착이 한반도 안보에 영향을 끼친다는 점에서 이를 적절하게 제어한다는 논리를 통해 국제사회에 설득하면서 러시아와의 관계를 점진적으로 회복할 필요가 있다.

   


본 문건의 내용은 필자의 견해로 아산정책연구원의 공식 입장과는 다를 수 있습니다.

 
이상준

이상준 교수는 러시아 및 유라시아 정치경제 전문가로서 지난 20여 년 동안 러시아 경제 체제와 국제경제협력, 중앙아시아 개발협력에서 다양한 연구실적을 쌓아왔다. 러시아 과학아카데미 세계경제 및 국제관계연구소(IMEMO)에서 경제학 박사학위를 취득하였으며, 한국슬라브유라시아학회장(2018)를 역임한 바 있다. 현재는 국민대학교 유러시아학과 교수로 있으면서, 한국외대 국제지역대학원 러시아/CIS 학과에 출강하고 있다. 러시아 체제와 경제발전 관련 논문과 저서 80건이 있다.

페이지 상단으로 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