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벤트

연구원 활동

검색창 닫기 버튼

“일본·대만·한국 차세대 핵보유국 될 가능성 높아”

작성자
조회
415
작성일
16-02-11 18:21
  • 프린트 아이콘
  • 페이지 링크 복사 아이콘
  • 즐겨찾기 추가 아이콘
  • 페이스북 아이콘
  • 엑스 아이콘
뷰페이지 큰 이미지
뷰페이지 큰 이미지
뷰페이지 큰 이미지
뷰페이지 큰 이미지
뷰페이지 큰 이미지
뷰페이지 큰 이미지
뷰페이지 큰 이미지
뷰페이지 큰 이미지
뷰페이지 큰 이미지
뷰페이지 큰 이미지
뷰페이지 큰 이미지
뷰페이지 작은 이미지
뷰페이지 작은 이미지
뷰페이지 작은 이미지
뷰페이지 작은 이미지
뷰페이지 작은 이미지
뷰페이지 작은 이미지
뷰페이지 작은 이미지
뷰페이지 작은 이미지
뷰페이지 작은 이미지
뷰페이지 작은 이미지
뷰페이지 작은 이미지
 
아산정책연구원(원장 함재봉)은 2월 11일(목) 군축전문가인 마크 피츠패트릭(Mark Fitzpatrick) 영국 국제전략문제연구소(IISS) 미국사무소장을 초청해 라운드 테이블을 개최했다.

피츠패트릭 소장은 자신의 신간 을 토대로 “국제사회가 북한의 핵 프로그램 축소에 집중해 있는 사이 일본, 대만 그리고 한국과 같이 서구와 밀접한 유대관계를 갖고 있는 국가들이 동북아의 차세대 핵보유국이 될 가능성이 높아졌다”고 전망했다. 그는 “북한 핵 위협에 직면해 있고 대중의 원자력 발전에 대한 지지 기반이 광범위한 한국이 자체 핵무기 개발프로그램을 발전시킬 가능성이 높다”면서 “그러나 미국과의 관계나 안보 동맹에 대한 신뢰를 잃지 않는다면 일본·대만·한국이 보유하고 있는 핵 기술을 핵무기 개발을 위해 사용하지는 않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피츠패트릭 소장은 한국이 핵무기 개발 프로그램을 추진하기로 결정한다면 전략적 이익을 넘어서는 부정적인 상황에 직면하게 될 것이라고 경고했다. 이 때 발생할 손실(demerits)에는 한미 안보동맹의 종결, 미국 및 기타 국가들과의 핵 협력 중단, 국제 제재로 발생되는 경제적 압박, 북한의 선제적 공격 가능성 증대, 역내 군비확장 경쟁, 국제사회에서의 평판 악화 등이 포함된다. 그는 자체 핵무장을 추구한다면 결국 한국은 거의 모든 분야에 걸쳐 취약해 질 것이라는 전망을 내놨다.

질의응답 시간에 피츠패트릭 소장은 핵확산 금지 조약(NPT) 10조가 ‘자국 이익이 위태로워질 경우 조약으로부터 탈퇴할 수 있다’고 규정하고 있지만 미국의 국내법은 NPT와 분리돼 있어 (한국이 탈퇴할 경우) 핵 에너지 교환 중단을 비롯한 미국의 추가 제재를 막을 수 없다”고 설명했다.

여러 참석자들은 한국의 핵 개발 및 군사적 자위권, 확장억제(extended-deterrence)와 관련된 미국의 조치, 대북 대응 방안과 관련된 모든 옵션들을 양국 전문가들이 논의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지적했다.
 
일시: 2016년 2월 11일(목) 오후 2:00 - 4:00
장소: 아산정책연구원 2층 회의실
 
관련태그
페이지 상단으로 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