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벤트

연구원 활동

검색창 닫기 버튼

라자랏남 연구소 엘리스테얼연구원과 라운드테이블서 비전통안보문제 논의

작성자
최현정
조회
223
작성일
14-11-21 16:07
  • 프린트 아이콘
  • 페이지 링크 복사 아이콘
  • 즐겨찾기 추가 아이콘
  • 페이스북 아이콘
  • 엑스 아이콘

지난 11월 14일, 싱가포르 소재 난양대학교의 라자랏남 국제 연구소 비전통안보센터 소속 앨리스테얼 D.B. 쿡 연구원이 아산정책연구원(함재봉 원장)을 방문, 동남아 비전통안보 연구동향에 대해 연구원 측과 의견을 나눴다. 3층 컨퍼런스룸에서 진행된 라운드테이블에는 연구원의 최현정 박사, 박지영 박사, 고명현 박사, 이재현 박사, 신창훈 박사가 참석했다. 참석자들은 동남아 지역에서 실제 군사적 위협으로 이어지는 ‘비전통적 안보 문제’를 주제로 이들 문제가 어떻게 아세안의 지역협력으로 이어졌는지를 토론했다. 글로벌거버넌스센터는 비전통적 안보문제를 아세안의 지역협력과 유사한 방식으로 해결할 수 있는지를 모색하기 위해 라운드 테이블을 조직했다.




 


Speaker


Alistair D.B. Cook is a Research Fellow at the Centre for Non-Traditional Security(NTS) Studies, S. Rajaratnam School of International Studies, Nanyang Technological University (NTU), Singapore. In 2012-2013, he was a visiting research fellow at the East Asian Institute of the National University of Singapore. His research interests are in non-traditional security and human security in the Asia-Pacific including peace and conflict studies, environmental security and climate change, foreign policy and regional cooperation, and domestic politics in Myanmar. He has recently co-edited Irregular Migration and Human Security in East Asia (Routledge, 2014), Non-Traditional Security in Asia: Issues, Challenges and Framework for Action (ISEAS, 2013) and has published in a variety of journals. He is also a resident analyst on Myanmar and regional security issues for Channel NewsAsia. This year he was elected treasurer of the International Studies Association - Asia-Pacific section (2014-2016). He graduated with a PhD from the University of Melbourne, Australia; Masters from Purdue University, USA; and M.A. (Hons) from St.Andrews University, Scotland. He has taught at Purdue University, University of Melbourne, Deakin University, Nanyang Technological University and Australian National University.

 
최현정

Senior Research Fellow

최현정 박사는 아산정책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이다. 청와대 녹색성장기획관실 선임행정관(2010-2013) 및 국정기획수석실 행정관(2008-2010)을 역임하였고, 제17대 대통령직인수위원회 정책연구위원(2008), IT전략연구원(現 한국미래연구원) 연구위원(2006), 일본 동경대학 사회과학연구소 연구원(2003-2004), 공군사관학교 국방학과 교수요원(1995-1998)도 역임하였다. 주요 연구분야는 기후변화, 녹색성장, 신성장동력, 동아시아 발전주의 국가 모델과 산업정책, 국가미래전략, 개발원조 등이다. 연세대학교 국제대학(UIC)에서 비전임교수로 강의를 하고 있으며, 주요 저서로는 Green Growth for a Greater Korea: White Book on Korean Green Growth Policy, 2008~2012 (Seoul: Korea Environment Institute, 2013)가 있다. 연세대학교 정치외교학 학사와 정치학 석사, 미국 Purdue University에서 정치학 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박지영

Senior Research Fellow

박지영 박사는 아산정책연구원의 과학기술정책센터 선임연구위원이다. 서울대학교에서 핵공학 학사와 석사, 미국 University of Michigan에서 핵공학 박사학위를 취득하였으며 서울대학교 정책학 석사학위도 취득하였다, 2000년부터 2012년까지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에 재직하였으며 R&D 타당성조사 센터장을 역임하였다. 주요연구분야는 핵정책, 근거중심 과학기술정책, 과학기술과 안보정책 등이다.

고명현

Senior Research Fellow

고명현 박사는 아산정책연구원의 선임연구위원이다. 고 박사는 외교안보 이슈에 대한 계량적 접근을 바탕으로 북한체제의 지속 가능성 및 장기 전략, 제재 및 수출통제, 사이버, 한반도 안보 환경 등을 연구한다. 최근 연구 저서로는 트럼프 행정부의 대북제재 변화를 분석한 "Not Under Pressure: How Pressure Leaked of North Korea Sanctions" (2020)와 러시아의 대북 석유 수출선을 파헤친 “The Rise of Phantom Traders: Russian Oil Exports to North Korea” (2018) 등이 있다. 고 박사는 미 컬럼비아 대학교 (Columbia University)에서 경제학 학사 (1999) 및 통계학 석사 (2001) 학위를 취득했으며, 미 랜드연구소 (RAND Corp.) 산하 대학원인 Pardee RAND Graduate School에서 정책분석학 박사 학위를 취득한 후 (2010) 미 캘리포니아 대학교 로스앤젤레스 (UCLA) 에서 박사후 연구원으로 재직했다. 2015년 뭔헨안보회의(MSC)의 '젊은 리더' (Young Leader)로 선출되었던 고명현 박사는 現 미국 신미국안보센터 (CNAS)와 영국 왕립합동군사연구소 (RUSI)의 객원연구위원이자 한국 국방부 자문위원이다.

이재현

수석연구위원

이재현 박사는 아산정책연구원의 수석연구위원이다. 연세대학교 정치외교학과에서 정치학 학사, 동 대학원 정치학과에서 정치학 석사학위를 받고, 호주 Murdoch University에서 정치학박사 학위를 받았다. 학위 이후, 한국동남아연구소 선임연구원을 거쳐 2012년까지 국립외교원의 외교안보연구소에서 객원교수를 지냈다. 주요 연구분야는 동남아 정치, 아세안, 동아시아 지역협력 등이다. 현재 한국동남아학회 부회장, 해양경찰청의 자문위원이고, 외교부 정책자문위원, 신남방정책특별위원회 자문위원을 역임했다. 최근 주요 연구결과물은 다음과 같다. 인도-퍼시픽, 새로운 전략적 공간의 등장(2015), 북한과 동남아시아(2017), 신남방정책이 아세안에서 성공하려면(2018), 한반도 평화를 위한 신남방정책의 역할(2018), 한국과 아세안의 전략적 공통분모와 신남방정책(2019), 비정형성과 비공식성의 아세안 의사결정(2019), 피벗: 미국 아시아전략의 미래 (2020, 역서), G-Zero 시대 글로벌, 지역 질서와 중견국(2020), “Southeast Asian Perspectives of the United States and China: A SWOT Analysis” (2022).

view more
신창훈

Research Fellow

신창훈 박사는 아산정책연구원의 글로벌 거버넌스센터 국제법 및 분쟁해결프로그램, 핵정책기술프로그램 연구위원이다. 서울대에서 전기공학사, 법학 석사, 영국 옥스퍼드 대학에서 법학 박사를 수여받았다. 주요 연구분야는 국제법 일반이론, 해양법, 분쟁해결절차, 국제환경법, 국제인도법, 대량살상무기 관련 국제조약 등이다. 2010년부터 2013년까지 국제해사기구(IMO)에서 투기에 의한 해양오염방지를 위한 런던의정서에 의해 설립된 준수그룹의 위원으로도 활동 한 바 있다.

페이지 상단으로 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