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벤트

연구원 활동

검색창 닫기 버튼

이브 로시에 스위스 외교부 차관 초청 라운드테이블

작성자
조회
108
작성일
14-12-04 09:40
  • 프린트 아이콘
  • 페이지 링크 복사 아이콘
  • 즐겨찾기 추가 아이콘
  • 페이스북 아이콘
  • 엑스 아이콘
뷰페이지 큰 이미지
뷰페이지 큰 이미지
뷰페이지 큰 이미지
뷰페이지 큰 이미지
뷰페이지 큰 이미지
뷰페이지 큰 이미지
뷰페이지 큰 이미지
뷰페이지 큰 이미지
뷰페이지 큰 이미지
뷰페이지 큰 이미지
뷰페이지 큰 이미지
뷰페이지 큰 이미지
뷰페이지 큰 이미지
뷰페이지 큰 이미지
뷰페이지 큰 이미지
뷰페이지 큰 이미지
뷰페이지 작은 이미지
뷰페이지 작은 이미지
뷰페이지 작은 이미지
뷰페이지 작은 이미지
뷰페이지 작은 이미지
뷰페이지 작은 이미지
뷰페이지 작은 이미지
뷰페이지 작은 이미지
뷰페이지 작은 이미지
뷰페이지 작은 이미지
뷰페이지 작은 이미지
뷰페이지 작은 이미지
뷰페이지 작은 이미지
뷰페이지 작은 이미지
뷰페이지 작은 이미지
뷰페이지 작은 이미지

아산정책연구원은 지난 12월 2일(화), 스위스 정부 대표단과 비공개 라운드테이블을 가졌다. 이 날 라운드테이블에는 이브 로시에(Yves Rossier) 스위스 외교차관, 요르그 알 레딩(Jorg Alois Reding) 주한 스위스 대사를 비롯한 대사관 관계자들이 참석했고, 한반도 안보상황과 북한문제 해결방안 등이 논의됐다.



아산정책연구원 소속 전문가들은 북한문제 해결에 대한 희망은 이어가야 하지만, 단기간 내 북한문제에 대한 외교·경제적 개입은 기대하기 어렵다고 전망했다. 함재봉 원장은 “현재로서는 중국에 기대를 걸 수 밖에 없다. 중국이 북한에 불편한 심기를 드러내면 북한을 압박할 수 있다. 그러나 중국은 북한에 대한 지원을 중단하지 않거나, 중단하지 못할 것이다”라고 했다. 한반도 안보환경, 교착상태에 있는 남북관계, 양자·다자개입에 소극적인 이해당사국 등을 고려하면, 대북정책에는 당분간 큰 변화가 없을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김정은이 오랫동안 사치품과 인프라에 과도한 비용을 소모하면서 치솟는 물가, 높아지고 있는 암시장의 영향력, 부정부패가 북한 경제에 부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다. 고명현 연구위원은 이러한 상황이 기본 생활수준에 대한 북한 주민의 높아진 기대감과 함께 체제를 압박하고, 변화에 대한 기회를 만들어 낼 것이라고 평했다. 라운드테이블 말미에는 참석자 모두가 향후 북한 체제에 변화가 발생하면, 국제사회와 한국이 이 상황에 적절히 대응할 수 있는 준비가 되어 있어야 한다는데 의견을 같이 했다.




 




관련태그
페이지 상단으로 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