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벤트

연구원 활동

검색창 닫기 버튼

[한국문화대탐사] 21. 궁궐의 철학

작성자
김석근
조회
179
작성일
14-07-27 10:07
  • 프린트 아이콘
  • 페이지 링크 복사 아이콘
  • 즐겨찾기 추가 아이콘
  • 페이스북 아이콘
  • 엑스 아이콘
140731_js_0001


2014-07-27/ 21. 궁궐의 철학



왕의 집에 스민 민본정신…소박하게 지어 세금 아껴


한국의 고궁은 왕의 민본 정신을 반영하는 곳이다. 정조는 “사치하지 않아야 한다’고 하며 궁궐에 절용애민의 정신을 담았다. 한국의 궁궐엔 크기나 장식으로는 넘볼 수 없는 깊이와 철학이 담겨 있는 것이다. 서울의 중심에 있는 다섯 고궁은 오늘날까지도 한국인의 자랑이다. 하지만 우리는 우리 궁에 담긴 역사를 얼마나 잘 알고 있을까? 궁궐에 깃든 임금의 철학부터 배워보자.




 


사진 및 PDF 출처는 중앙선데이 2014년 7월 27일자 23면입니다.






김석근

수석연구위원, Chief Editor

김석근 박사는 아산정책연구원의 수석연구위원이다. 연세대학교 정치외교학과를 거쳐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대학원에서 문학 석∙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1996년부터 2000년까지 고려대학교 아세아문제연구소 한국정치사상연구실장으로 재직했으며 2000년부터 2006년까지는 연세대학교 정치외교학과 BK21 연구교수와 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 연구교수를 지냈다. 그 외에 서울대, 서강대, 성균관대 등 여러 대학에서 강의를 해왔으며 주요 연구분야는 한국정치사상, 동양철학사, 그리고 동아시아 역사와 문화 등이다.

이승률

이승률 박사는 아산정책연구원 한국학연구센터 객원연구위원이다. 일본 도쿄(東京)대학 인문사회계연구과 (2003~2008) 전임강사, 성균관대학교 동아시아학술원 (2008~2010) HK연구교수를 역임했다. 연구분야는 동양철학, 인문고전(13경, 제자백가), 출토문헌 등이다. 최근 출판물로는 『죽간ㆍ목간ㆍ백서, 중국 고대 간백자료의 세계 1』 (2014년 대한민국학술원 우수학술도서, 예문서원, 2013) 등이 있으며, 역서로는 『한 단어 사전, 천』 (푸른역사, 2013) 등이 있다. 일본 도쿄대학 인문사회계연구과에서 문학 석ㆍ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관련태그
페이지 상단으로 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