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상
연구원 소개
PRESS RELEASE
정몽준 아산정책연구원 명예이사장은 15일 일본 도쿄에서 개최된 ‘2025 한일정책대화’에 참여해 ‘급변하는 지역안보 상황에 따라 보다 긴밀한 한·일협력관계 구축이 필요하다’고 개회사를 통해 역설했다. 또한, 이를 위해 일본의 보다 적극적인 노력이 요구된다고 강조했다.
한일정책대화는 바람직한 한일관계 모색을 위해 2023부터 매년 개최되고 있는 정책대화 플랫폼으로, 한국의 아산정책연구원과 일본의 아시아퍼시픽이니셔티브(Asia Pacific Initiative, API)가 공동주최하고 있다. ‘2025 한일정책대화’는 ‘한일관계 60년, 회고와 전망’을 주제로 개최된 가운데, 일본측에서는 기시다 후미오 전 총리, 나가시마 아키히사 의원이, 한국측에서는 이혁 주일한국대사, 신각수 전 외교부 차관, 윤덕민 전 주일한국대사, 이용준 세종연구소 이사장 등이 참석해 ▲북핵 대응을 위한 한일 및 한미일 협력, ▲인태지역에서의 한일협력의 도전과 과제 등에 대한 심도 깊은 의견을 나눴다.
이 자리에서 정몽준 명예이사장은 한일관계를 ‘채워지지 않은 물컵 반 잔’에 비유했다. 미국 펜실바니아 대학의 이정식 교수에 따르면 위안부는 20만명, 강제징용은 200만명, 강제징병은 20만명에 달했다는 점을 상기시키면서, 한일관계의 진정한 발전을 위해서는 일본의 보다 성의 있고 진심 어린 마음으로 나머지 반잔을 채우는 노력이 필요하다는 점을 강조했다.
정 명예이사장은 인태지역의 다양한 안보도전에 대처하기 위해, 한일 양국이 인태지역 집단안보체제 구축의 주역이 되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이미 100여 기가 넘는 전술핵무기가 배치되어 있는 유럽을 언급하며, 유럽 보다 심각한 안보상황에 놓여 있는 동북아에 전술핵 무기가 없다는 사실에 우려를 표명하는 한편, 이에 대한 구체적 방안으로 아시아판 NATO 설립, 인태 지역 동맹 핵전력 구축, 한반도 내 전술핵 재배치 등을 제안했다.
정 명예이사장은 ‘2025 한일정책대화’가 한일관계의 또 다른 60년, 그리고 동북아 평화와 공동번영을 위한 새 출발점이 되길 기원하며, 개회사를 마무리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