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상
2014-06-22 / 19. 한옥- 上/strong>
통(通)의 원리와 온돌을 잘 활용하여 한 건물에 냉난방 기능이 모두 갖춰진 한옥은 우리 조상의 지혜가 스민 친환경 주거 형태이다. 뿐만 아니라 한옥은 사치와 허례를 막는 가사(家舍) 규제, 풍수사상에 따른 집 짓기 등 조선조 철학을 그대로 담고 있는 동시에 첨단기술도 들어있다. 그러나 한옥의 아름다운 500년 전통은 구한말 그 실용성에 대한 비판을 받기 시작하고, 주택난을 해결하기 위한 ‘찍어낸 한옥,’ ‘무늬만 한옥’들이 나타나면서 흐려지게 된다. 게다가 ‘한옥’이 무엇인지에 대한 명확한 정의도 표준도 없어 정체성이 모호한 한옥들이 들어서고, 전통 가옥들이 제대로 유지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수석연구위원, Chief Editor
김석근 박사는 아산정책연구원의 수석연구위원이다. 연세대학교 정치외교학과를 거쳐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대학원에서 문학 석∙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1996년부터 2000년까지 고려대학교 아세아문제연구소 한국정치사상연구실장으로 재직했으며 2000년부터 2006년까지는 연세대학교 정치외교학과 BK21 연구교수와 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 연구교수를 지냈다. 그 외에 서울대, 서강대, 성균관대 등 여러 대학에서 강의를 해왔으며 주요 연구분야는 한국정치사상, 동양철학사, 그리고 동아시아 역사와 문화 등이다.
이승률 박사는 아산정책연구원 한국학연구센터 객원연구위원이다. 일본 도쿄(東京)대학 인문사회계연구과 (2003~2008) 전임강사, 성균관대학교 동아시아학술원 (2008~2010) HK연구교수를 역임했다. 연구분야는 동양철학, 인문고전(13경, 제자백가), 출토문헌 등이다. 최근 출판물로는 『죽간ㆍ목간ㆍ백서, 중국 고대 간백자료의 세계 1』 (2014년 대한민국학술원 우수학술도서, 예문서원, 2013) 등이 있으며, 역서로는 『한 단어 사전, 천』 (푸른역사, 2013) 등이 있다. 일본 도쿄대학 인문사회계연구과에서 문학 석ㆍ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Program Officer
김보아 연구원은 아산정책연구원 인문연구센터 연구원이다. 연구 관심분야는 한국의 인구학적 특성 및 가족가치의 변화 그리고 유럽의 사회문화적 배경과 다양성이다. 이화여자대학교 경영대학 국제사무학과를 졸업한 후 서울대학교 국제대학원에서 국제지역학 석사학위를 받았다.